삼국유사 연대기와 핵심정리
삼국유사 연대기
한국 고대사의 연대와 인물
본 자료는 한국 고대사의 신화적 기원에서부터 삼국시대 중반까지의 주요 사건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I. 고조선 (왕검조선) 건국 및 신화적 기원
단군왕검(檀君王儉)이 아사달(阿斯達)에 도읍을 정하고 조선(朝鮮)을 건국하다.
천신 환인(桓因)의 서자 환웅(桓雄)이 인간 세상을 다스리고자 함. 환인이 천부인(天符印) 3개를 환웅에게 주어 인간 세상으로 내려보냄.
환웅이 3,000명의 무리를 이끌고 태백산 신단수(神檀樹) 아래에 내려와 신시(神市)를 열고 환웅천왕(桓雄天王)이라 불림. 풍백(風伯), 우사(雨師), 운사(雲師)를 거느리고 인간 세상의 360여 가지 일을 주관하며 다스리고 교화함.
곰과 호랑이가 인간이 되기를 기원하자, 환웅이 쑥과 마늘을 주며 100일간 햇빛을 보지 말라고 명함. 21일 후, 곰은 웅녀(熊女)가 되고 호랑이는 금기를 어겨 실패함.
웅녀가 아이 갖기를 빌자, 환웅이 잠시 인간으로 변해 웅녀와 혼인하여 아들 단군왕검을 낳음. 단군왕검은 훗날 하백(河伯)의 딸과 인연을 맺어 부루(夫婁)를 낳음.
II. 위만조선과 한나라와의 충돌
연나라가 진번(眞蕃)과 조선(朝鮮)을 침략하여 차지하고 관리를 두며 요새를 쌓음.
한나라가 요동 옛 요새를 수리하고 패수(浿水)를 경계로 삼음.
연나라 왕 노관(盧綰)이 한나라를 배반하고 흉노로 도주. 이때 연나라 사람 위만(衛滿)이 1,000여 명의 무리를 이끌고 동쪽으로 망명하여 왕검(王儉)에 도읍을 정함.
조선이 한나라 사신 섭하(涉何)를 공격하여 살해함. 이에 한나라 천자가 누선장군 양복(楊僕)과 좌장군 순체(荀彘)를 보내 조선을 공격함.
조선의 우거왕(右渠王)이 한나라의 공격을 성공적으로 막아냈으나, 한나라 사자 위산(衛山)과의 협상이 결렬되고 결국 내분으로 인해 멸망함.
III. 삼국시대 초기 건국 및 신화
여섯 부의 촌장들이 알천 언덕에 모여 임금 추대를 논의함. 나정(蘿井) 우물가에서 자줏빛 알이 발견되고, 그 안에서 혁거세왕(赫居世王)이 태어남.
알영정(閼英井)에서 계룡(鷄龍)이 나타나 여자아이 알영(閼英)을 낳음.
박혁거세와 알영이 혼인하고 나라(신라)를 다스리기 시작함.
변한(卞韓) 사람들이 나라를 들어 신라에 항복함.
온조왕(溫祚王)이 일어나 백제(百濟)를 건국함.
용성국에서 태어난 알이 신라 아진포에 도착하여 탈해(脫解)가 나옴. 지혜로 호공의 집을 차지하고, 후에 남해왕의 사위가 되어 왕위에 오름.
IV. 신라의 발전과 불교 전래
아도(阿道) 화상이 신라에 와서 불법을 전파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피신함.
고구려에서 온 승려 묵호자(墨胡子)가 향 사용법을 알려주고 왕의 딸의 병을 고쳐줌.
비처왕(소지왕)이 까마귀와 쥐의 경고로 연못에서 나온 편지를 통해 궁중의 간통 사건을 해결함. 이로 인해 정월 오기일(烏忌日) 풍속이 생김.
이차돈(異次頓)이 불법 공인을 위해 순교함. 목에서 흰 젖이 솟고 하늘에서 꽃비가 내리는 기적이 일어남. 이후 법흥왕이 불교를 공인하고 흥륭시킴.
진흥왕이 황룡사 장육존상을 완성하고 동축사를 세움.
김유신(金庾信) 출생. 등에 북두칠성 무늬가 있었다고 전해짐.
제27대 선덕여왕(善德女王) 즉위. 영묘사, 첨성대 등을 세움.
자장법사가 당나라에서 귀국하여 황룡사 9층탑 건립을 건의하고, 백제 장인 아비지(阿非知)를 초빙하여 탑을 완성함.
나당연합군이 백제를 공격. 계백 장군이 황산벌에서 5천 결사대로 항전했으나 전사. 의자왕이 항복하고 백제 멸망.
나당연합군이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보장왕을 사로잡음.
문무대왕이 "죽어 나라를 지키는 용이 되겠다"는 유언을 남기고 동해의 대왕암에 묻힘.
신문대왕이 동해에서 검은 옥대와 신비한 대나무를 얻음. 이 대나무로 피리를 만들어 만파식적(萬波息笛)이라 부르니, 나라의 모든 근심이 사라짐.
V. 신라 중기 문화 발전 및 불교 흥성
수로부인이 바다 용에게 끌려갔다가, 백성들이 <해가가>를 부르자 무사히 돌아옴.
하늘에 해가 둘 뜨는 괴변이 일어나자, 월명사(月明師)가 향가 <도솔가>를 지어 부르니 괴변이 사라짐.
월명사가 죽은 누이를 위해 <제망매가>를 지어 부름.
또한, 여종 욱면이 염불에 정진하여 서방정토로 승천하고, 신충이 잣나무에 노래를 붙여 왕의 마음을 돌리는 등 불교 관련 설화가 다수 기록됨.
VI. 신라 말기
가난 때문에 아들을 묻으려던 손순(孫順)이 땅속에서 돌종을 발견하여 효성을 인정받음.
후백제 견훤이 수도를 침략하자 최은함이 관음보살상에 기도하여 아들을 구함.
VII. 기타 중요 사건
연오랑과 세오녀 부부가 일본으로 건너가자 신라의 해와 달이 빛을 잃음. 세오녀가 짠 비단으로 제사를 지내자 빛을 되찾음.
김유신 장군의 혼령이 나라를 떠나겠다고 하자, 미추왕의 혼령이 만류하여 혜공왕이 사죄함.
박제상(朴堤上)이 고구려와 왜국에 볼모로 잡혀있던 왕의 아우들을 구출하고, 자신은 왜국에서 순절함.
세상을 바꾸는 힘: 삼국유사 핵심 정리
1. 삼국의 시조와 신화적 기원
- 단군왕검 출생 배경: 환인-환웅-단군으로 이어지는 천손(天孫) 하강 신화. 환웅의 홍익인간 이념과 천부인 수여, 신시 개척 과정 파악.
- 웅녀 설화: 곰과 호랑이의 인간 변신 소망, 쑥과 마늘 섭취 후 웅녀의 탄생, 환웅과의 결합으로 단군왕검이 태어나는 서사.
- 도읍지: 아사달(무엽산, 백악)의 기록과 백악궁과의 연관성.
- 시대적 배경: 중국 요(堯) 임금과 같은 시대였다는 기록의 의미.
- 위만의 기원: 연나라 사람 위만이 한나라를 배반한 노관과 얽혀 동쪽으로 망명해 온 과정.
- 건국 과정: 요동을 넘어 패수를 건너고, 토착민과 망명객을 규합하여 왕검성에 도읍을 정하는 과정.
- 한나라와의 관계: 패수를 경계로 한 갈등부터 한무제와의 전쟁, 우거왕의 최후까지의 흐름.
'기이(紀異)' 편이 첫머리에 실린 이유와, 삼국 시조들이 모두 신비로운 기적 속에서 태어났다는 '난생설화(卵生說話)' 등의 공통점이 가지는 의미를 파악합니다. 이는 건국 신화가 지배층의 신성성과 정당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했음을 의미합니다.
2. 주요 왕들의 이야기와 역사적 사건
해모수와 하백의 딸 사이의 신화적 출생, 알에서 태어난 기이함, 뛰어난 활 솜씨(주몽의 의미) 등 건국 서사를 이해합니다. 일연 스님이 부루와 주몽을 배다른 형제로 해석한 주석도 함께 파악합니다.
나정 우물가의 기이한 기운, 흰 말의 출현, 자줏빛 알에서 태어난 혁거세와 계룡의 갈비에서 태어난 알영 부인의 설화를 파악합니다. 거서간, 차차웅, 이사금, 마립간 등 신라 왕호의 변화와 그 의미를 숙지합니다.
용성국 출신으로, 알에서 태어나 궤에 실려 바다에 버려진 뒤 신라에 당도하는 성장 과정. 숫돌과 숯을 이용해 호공의 집을 차지하는 지혜와 계략, '잇금 설화'를 통해 왕위에 오르는 과정을 이해합니다.
김알지의 후손으로 김씨 최초로 왕위에 오른 '김씨 왕조의 시작'이라는 점을 기억합니다. 이서국 침략 시, 댓잎을 꽂은 의문의 군사(죽엽군)가 미추왕릉 앞에서 나타나 신라를 도운 신이한 이야기를 파악합니다.
고구려와 왜국에 볼모로 잡힌 왕자들을 구출하기 위한 박제상의 충절과 "계림의 개나 돼지가 될지언정 왜국의 신하는 되지 않겠다"는 명언, 그리고 그의 비극적 최후와 부인의 이야기를 이해합니다.
까마귀와 쥐의 경고, 연못에서 나타난 노인이 준 "거문고 갑을 쏘라(사금갑)"는 글씨를 통해 궁중의 간통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을 파악합니다. 이로부터 유래된 오기일(烏忌日) 등의 풍속을 알아둡니다.
여왕의 비범한 예지력을 보여주는 세 가지 이야기: ①모란꽃의 향기(그림에 나비가 없어 향이 없음을 예측), ②영묘사 개구리 울음(백제군의 침략을 예견), ③도리천 장사(자신이 묻힐 곳을 예언)의 의미를 파악합니다.
의자왕의 타락과 성충의 간언, 계백의 황산벌 전투, 나당연합군의 사비성 함락 과정을 이해합니다. 이후 당나라의 야심에 맞선 명랑법사의 문두루비법 등 대당 항쟁과 문무왕의 통일 의지를 파악합니다.
3. 통일 신라 시대의 문화와 종교
문무대왕이 용이 되어 나라를 지키겠다는 유언에 따라 지어진 감은사와 이견대. 이곳에서 얻은 대나무로 만든 피리 만파식적의 신비로운 효능(적병 퇴치, 질병 치유 등)과 그 유래를 이해합니다.
- 아도 화상: 신라에 불교의 씨앗을 뿌린 인물.
- 이차돈의 순교: 불교 공인을 위해 목숨을 바친 이차돈의 희생과 그로 인한 기적(흰 젖, 꽃비 등)을 통해 신라 불교가 공인되는 과정을 파악합니다.
- 자장법사와 황룡사 9층탑: 문수보살의 가르침을 받아 외적의 침략을 막기 위해 9층탑 건립을 건의한 이야기. 각 층이 상징하는 아홉 오랑캐의 의미를 이해합니다.
- 대성의 효도: 가난했던 전생의 부모와 재상이었던 현생의 부모를 위해 각각 석불사(석굴암)와 불국사를 창건한 이야기.
- 손순의 효행: 굶주린 어머니를 위해 아이를 묻으려다 돌종을 얻은 이야기.
- 이 외에도 진정 법사, 가난한 여인 등 효를 실천한 인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당시 사회의 가치관을 이해합니다.
- 고조선의 시조인 단군왕검이 태어나는 설화에서, 환웅이 인간이 되기를 원하는 곰과 호랑이에게 준 신령한 음식 두 가지는 무엇이며, 이 중 사람이 된 동물은 무엇인가? 정답 보기
신령한 쑥 한 줌과 마늘 스무 개를 주었으며, 이 중 곰이 사람이 되었다.
- 위만조선의 위만이 한나라의 요동을 넘어와 자리 잡고 나라를 세운 곳은 어디이며, 이 위만조선의 도읍지는 어디였는가? 정답 보기
진나라 시절의 옛 빈 땅인 상하장에 자리 잡았으며, 도읍지는 왕검성이었다.
- 신라의 시조 혁거세왕은 어디에서 어떤 모습으로 태어났으며, 그의 왕비인 알영은 어디에서 어떻게 태어났는가? 정답 보기
양산 아래 나정이라는 우물가에 번갯빛처럼 기이한 기운이 비치는 곳에서 자줏빛 알에서 태어났고, 알영은 사량리 알영정 가에 나타난 계룡의 왼쪽 갈비에서 태어났다.
- 신라의 왕 칭호는 시대에 따라 변했다. 거서간, 차차웅, 이사금, 마립간 중 최초로 김씨 왕이 사용하기 시작한 칭호와 시호라는 개념이 처음 사용된 왕의 시호는 무엇인가? 정답 보기
김씨 왕이 처음 사용한 칭호는 '이사금' 또는 '마립간'이며, 시호가 처음 사용된 왕은 지철로왕(지증왕)이다.
- 박제상이 왜국에 억류된 미해공을 구출하기 위해 어떤 거짓말을 하여 왜왕을 속였으며, 왜왕이 그에게 '어느 나라 신하냐'고 반복해서 물었을 때 박제상은 무엇이라고 대답하며 충절을 지켰는가? 정답 보기
계림왕이 죄 없는 자신의 부모와 형제를 죽였기에 도망쳐 왔다고 거짓말을 했으며, '계림의 신하'라고 대답하며 충절을 지켰다.
- 신라 비처왕(소지왕) 시대에 궁궐에 변고가 일어날 것을 알려준 동물들은 무엇이며, 이들이 '거문고 갑을 쏘라'는 메시지를 전달하게 한 기이한 현상과, 이로 인해 밝혀진 궁중의 사건은 무엇인가? 정답 보기
까마귀와 쥐가 궁궐에 변고를 알려주었으며, 노인이 나타나 '거문고 갑을 쏘라'는 글을 전달했다. 이로 인해 내전에서 중과 궁녀가 간통한 사실이 밝혀졌다.
- 선덕여왕이 당 태종이 보낸 모란꽃 그림을 보고 그 꽃에 향기가 없을 것이라고 예언한 이유는 무엇이며, 영묘사 옥문지 개구리의 울음소리를 듣고 백제 침략을 예견한 이유 중 '옥문'과 '백색'이 상징하는 것은 무엇이었는가? 정답 보기
모란꽃 그림에 나비가 없었으므로 향기가 없을 것이라고 예언했으며, '옥문'은 여자의 성기를, '백색'은 서쪽(서쪽 군사)을 뜻한다고 해석했다.
- 황룡사 구층탑의 건립을 지시한 자장법사가 중국에서 누구에게 가르침을 받았으며, 그가 탑을 세우면 어떤 이로운 일이 있을 것이라고 예언 받았는가? 정답 보기
중국 오대산에서 문수보살에게 가르침을 받았으며, 탑을 세우면 이웃 나라들이 항복하고 아홉 오랑캐(九韓)가 조공을 바쳐 왕업이 길이 평안할 것이라고 예언 받았다.
- 신라 경덕왕 때 강주 미타사에 만일회를 만들었던 광덕과 엄장 두 승려의 이야기에서, 광덕의 아내가 엄장에게 '스님의 수행은 동쪽으로 가는 것이지 서쪽으로 가는 것이라 할 수 없다'고 말한 이유는 무엇이며, 이 말을 들은 엄장은 어떻게 깨달음을 얻었는가? 정답 보기
광덕의 아내는 엄장이 남편과 달리 육체적인 욕망에 빠져 있기 때문에 서방정토로 갈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 말을 들은 엄장은 부끄러워하며 원효법사를 찾아가 정진하여 깨달음을 얻었다.
- 승려 영재가 대현령에서 도적 60여 명을 만나 죽음의 위기에도 평온함을 유지하며 향가를 지어 도적들을 감화시킨 결과, 도적들은 어떻게 변했으며, 영재는 그들에게서 받은 비단을 어떻게 하였는가? 정답 보기
도적들은 칼과 창을 버리고 영재의 제자가 되어 지리산에 은거했다. 영재는 그들에게서 받은 비단이 '지옥으로 가는 근본'이라며 땅에 던졌다.
- 《삼국유사》에 나타난 삼국(고조선, 고구려, 신라, 백제)의 시조 설화들은 어떤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특징들이 각 나라의 건국 이념이나 지배층의 정당성 확보에 어떻게 기여했다고 볼 수 있는가?
- 박제상의 충절과 이차돈의 순교 이야기는 각각 유교적 충의와 불교적 희생이라는 가치를 상징한다. 두 인물의 행적이 당시 신라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 것이며, 현대 한국인에게는 어떤 의미로 다가오는가?
- 선덕여왕의 '지기삼사'는 그녀의 비범한 지혜와 통찰력을 보여준다. 여왕의 통치 시기에 나타난 이러한 예지력 관련 설화가 당시 신라의 정치적 상황(여왕의 위상, 주변국과의 관계 등)과 어떤 연관성을 가지는지 논하시오.
- 만파식적 설화는 단순한 피리의 이야기가 아니라 신라의 국난 극복과 국태민안을 상징한다. 이 피리가 지닌 다양한 효능과 그 유래를 통해 당시 신라가 처했던 대내외적 상황과 백성들의 염원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서술하시오.
- 《삼국유사》에 수록된 효행 관련 이야기들(진정 법사, 대성, 손순, 가난한 여인 등)은 단순한 도덕적 교훈을 넘어 다양한 사회적, 종교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이야기들이 당시 신라 사회의 효 사상, 불교의 역할, 그리고 민간 신앙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지 분석하시오.
- 기이(紀異)
- '기이한 일들을 기록한다'는 뜻으로, 《삼국유사》의 첫 편에 해당합니다. 역사적 사실보다는 신화, 설화 등 신비로운 이야기를 모았습니다.
- 천손 하강(天孫下降)
- 하늘의 자손이 땅으로 내려왔다는 신화적 모티프로, 지배자의 신성성을 강조합니다.
- 거서간(居西干), 차차웅(次次雄), 이사금(尼師今), 마립간(麻立干)
- 신라 초기의 왕을 부르던 칭호들입니다. 각각 '군장', '무당', '계승자(잇금이 많은 사람)', '으뜸 우두머리(말뚝)' 등의 의미를 가집니다.
- 사금갑(射琴匣)
- '거문고 갑을 쏘다'는 뜻으로, 비처왕(소지왕)이 신비로운 계시를 통해 궁중의 음모를 해결한 사건을 의미합니다.
- 만파식적(萬波息笛)
- 신라 신문왕 때 동해 용에게서 받은 신비한 피리. 이 피리를 불면 모든 파도가 잔잔해지고 국난이 해결되었다고 전해집니다.
- 이차돈(異次頓)
- 신라 법흥왕 때 불교 공인을 위해 스스로 목숨을 바친 인물. 그의 순교는 신라가 불교 국가로 나아가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습니다.
- 지기삼사(知幾三事)
- 선덕여왕이 미리 알아차린 세 가지 일. 모란꽃의 향기, 영묘사 개구리 울음, 자신이 묻힐 도리천을 예언한 일을 말합니다.
- 향가(鄕歌)
- 신라 시대에 향찰로 표기하여 부르던 고유의 정형 시가. 당시 사람들의 정서와 신앙을 담고 있습니다.